본문 바로가기
초보 주식 가이드

동시호가 몰라서 장 시작에 당황했다면, 이 글로 완전 정리하세요!

by 네빛 2025. 5. 28.

동시호가는 장 시작과 마감 직전, 거래가 몰리는 구간에서 가격을 정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주식 매매를 처음 시작하면 ‘체결 안 됨’, ‘가격 튐’, ‘갑자기 오르거나 내림’ 같은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특히 장 시작 직후나 마감 직전에 이런 현상이 유독 심하죠. 그 중심에 바로 동시호가가 있습니다.

 

오늘은 동시호가가 무엇인지, 언제 적용되고 초보자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거래 시간 중 가장 헷갈리는 동시호가! 장 시작과 마감 직전에 체결되는 방식과 가격 결정 원리를 쉽게 설명드립니다.

동시호가 개념과 장 시작/마감 타이밍을 초보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 블로그 썸네일 이미지

동시호가란?

📌 동시호가는 일정 시간 동안 받은 주문을 한꺼번에 모아서, 하나의 가격(단일가)으로 거래를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즉,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고, 모든 주문을 받아 가격 우선/수량 우선 기준으로 일괄 체결해요.

 

언제 적용되나요?

  • 🕗 08:30 ~ 09:00 → 장 시작 전 동시호가
  • 🕞 15:20 ~ 15:30 → 장 마감 전 동시호가

이 시간 동안 주문을 넣으면 즉시 체결되지 않고, 09:00 / 15:30 정각에 한 번에 체결됩니다.

어떻게 체결되나요?

예를 들어, 누군가는 1만원에 사고 싶고, 누군가는 9천원에 팔고 싶을 때, 가장 많은 주문이 맞춰지는 균형 가격에서 거래가 체결됩니다.

이걸 ‘단일가 체결’이라고 하며, 시장의 수급을 반영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초보자를 위한 실전 팁

  • ✅ 동시호가는 갭상승/갭하락의 기준이 되므로, 신중하게 주문해야 해요
  • ✅ 실시간 대응이 불가능하므로 호가 확인 없이 진입하는 건 위험할 수 있어요
  • ✅ 특히 장 시작 전엔 예상 체결가를 꼭 보고 진입 결정!

 

⚠️ ‘아침 8시 45분에 샀는데 체결이 안 돼요!’라는 질문, 대부분이 동시호가 개념을 몰라서 생깁니다. 정각 체결이라는 걸 잊지 마세요.

시리즈 마무리 & 다음 계획

이번 글로 ‘정규장 외 거래 시리즈’를 마무리하게 되었어요 😊

앞으로는 매매 유형별 전략이나 주식 용어 시리즈로 이어갈 예정이에요.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꼭 남겨주세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댓글로 다음 콘텐츠 제작에 힘을 주세요!